가을향기쉼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가을향기쉼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110)
    • 교육 (2)
    • 여행 (13)
    • 반려동물 (3)
    • 경제 (59)
      • 세금 (48)
      • 부동산 (5)
    • 라이프 (10)
      • 건강 (2)
    • 역사학 (19)
      • 해외여행 (0)
      • 국내여행 (14)

검색 레이어

가을향기쉼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캐나다 통화, 팁, 영업시간, 환율조회 등 기본 정보 여행 꿀Tip

    2022.12.07 by 가을향기쉼터

  • 증여세 간편계산 및 자동계산 바로가기

    2022.12.07 by 가을향기쉼터

  • 자녀에게 부동산 마련 자금을 빌려준다면 증여세 절감 방법

    2022.12.06 by 가을향기쉼터

  • 똑똑한 부동산 증여 하락장에 빛본다

    2022.12.06 by 가을향기쉼터

  • 부담부 증여를 통한 양도세 절세방법

    2022.12.06 by 가을향기쉼터

  • 22년도 상속개시일,범위,상속재산에 포함되는 경우와 포함되지 않는 경우

    2022.12.06 by 가을향기쉼터

  • 상속세 과세대상, 국내거주자와 해외거주자의 상속세 차이점

    2022.12.06 by 가을향기쉼터

  • 법정상속분과 유류분 제도 궁금증 한번에 알아보기

    2022.12.05 by 가을향기쉼터

캐나다 통화, 팁, 영업시간, 환율조회 등 기본 정보 여행 꿀Tip

캐나다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잘 알려진 나라지만, 가만히 살펴보면 우리와 달라도 너무 다르게 돌아가고 있는 나라이고, 캐나다의 넓은 국토와 이국적인 자연을 가지고 있는 나라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캐나다로 이민과 어학연수나 유학생들이 많이 나가 있는 친숙한 나라이기도 하다.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나라로 알려져 있는 나라이기도 하다. 그래서 캐나다로 여행을 가고싶어 하는 분들도 많을것 같아 꼭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캐나다는 어떤 나라일까? 정식국명 : 캐나다(Canada) 원주민어로 '촌락'을 뜻하는 단어 '카나타(kanata)가 캐나다의 어원이다. 수도: 오타와(Ottawa) 면적 : 9,984,670㎢로 캐나다는 세계에서 두번째로 국토 면적이 넓은 나라다. 인구: 3,727만9,..

여행 2022. 12. 7. 23:14

증여세 간편계산 및 자동계산 바로가기

증여세란 증여에 의하여 재산이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증여세 자동계산 서비스는 순수토지, 공동주택, 단독주택, 일반건물, 상업용건물(오피스텔) 상장주식, 기타재산 등의 증여세를 직접 계산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 자동계산 프로그램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범위 ★ 부동산(순수토지, 공동주택, 개별주택, 일반건물, 상업용건물 및 오피스텔) - 증여일 전 6개월후 3개월 이내 매매사례가액 등 시가가 있는 경우 해당 가액을 시가로 입력할 수 있는 화면 제공 - 시가가 없는 경우 소재지, 면적 등을 입력하면 개별공시지가, 기준시가 등 보충적 평가액이 자동 계산되는 화면 제공 ★ 상장주식 - 시가(증여일 전후 2개월간 종가평균액)를 조회하여 입력할 수 있는 화면 제공 ★ 기타재산(비상장주식,..

경제/세금 2022. 12. 7. 16:20

자녀에게 부동산 마련 자금을 빌려준다면 증여세 절감 방법

부모가 증여세를 최대한 아끼면서 자녀에게 집을 마련해주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자녀가 안정적인 소득이 있다면 주택 마련에 필요한 현금을 빌려주는 방법이 좋다. 다만, 같은 금액을 빌려주더라도 자녀로부터 이자를 받을 때와 받지 않을 때 내는 증여세는 천차만별이다. 세법에서는 '타인(특수관계인 포함)으로부터 금전을 무상으로 또는 적정 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로 대출받은 경우에는 받지 않은 이자 상당액을 빌린 사람의 증여 재산가액으로 본다고 규정한다. 이자 년4.6%내야 이때 세법에서 정한 적정 이자율은 4.6%다. 적정 이자율은 과거 연9%까지 달했지만, 2010년 8.5%로 낮아진 뒤 2016년부터 4.6%를 유지하고 있다. 즉, 매년 빌린 돈의 4.6%를 이자로 부모에게 갚는다면 증여로 보지 않는다는 얘..

경제/세금 2022. 12. 6. 19:13

똑똑한 부동산 증여 하락장에 빛본다

최근 집값이 하락한 데다 내년부터 증여세 산정 기준이 바뀔 예정이라 1주택자든 다주택자든 절세를 위해 증여를 서두르는 움직임이 있는데, 전체 주택 거래에서 증여가 차지하는 비중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월1일 전 증여해야 공시가 기준 적용 - 내년 1월1일부터 부동산을 증여할때 취득세를 산정하는 기준이 '시가표준액(기준시가)'에서 시가인정액(시가)으로 바뀐다. 시가표준액은 상속 또는 증여할때 양도세나 상속세, 증여세 등의 과세액을 부과하는 기준이 되는 가격(공시가격)이다. 시가인정액은 취득일 전 6개월부터 취득일 후 3개월 이내에 기준일이 있는 매매 사례 가액 등 시가(시세)로 인정되는 가액이다. 즉, 증여 취득세를 시가로 산정하면 내야 하는 취득세가 늘어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전에 증여하려는 움..

경제/세금 2022. 12. 6. 18:51

부담부 증여를 통한 양도세 절세방법

부담부증여 는 증여재산에 담보된 증여자의 채무를 수증자가 인수한 경우를 말한다. 부담부증여에서 수증자가 인수한 채무는 증여재산의 가액에서 차감되며, 증여자는 채무액만큼 재산을 양도한 것으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부담한다. '부담부 증여'를 통한 양도세 절세도 생각해볼만하다. 부담부 증여는 주택을 증여할때 소유권과 함께 전세보증금이나 대출 등의 채무도 같이 승계하는 방법이다. 증여받은 사람은 채무를 제외한 금액으로 증여세가 계산된다. 채무에 대해서는 증여자가 양도세를 물게된다. 특히 시세파악이 용이한 아파트의 경우 매매 실거래 가액이 증여재산가액으로 평가돼 증여세 부담이 상당한데, 부담부 증여를 이용하면 이를 상당 부분 아낄수 있다. 예를들어 시가 10억원의 주택에 전세보증금이 6억원, 대출금이 2억원 있다고..

경제/세금 2022. 12. 6. 18:40

22년도 상속개시일,범위,상속재산에 포함되는 경우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속개시일 상속개시의 시기는 사망 등 상속개시의 원인이 발생한 때이며, 사망과 동시에 당연히 상속이 개시되므로 상속인이 이를 알았는지에 관계없이 상속이 개시된다. 1. 자연적 사망일 2. 실종선고일 3. 인정사망 : 가족관계등록부에 기재된 사망의 연,월,일,시 상속재산의 범위 상속재산은 피상속인에게 귀속되는 재산으로서 금전으로 환가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물건과 재산적 가치가 있는 법률상,사실상 권리를 모두 포함하나, 일시네 전속한 것으로서 사망으로 소멸하는 것을 제외한다. 상속재산에 포함되는 경우 1. 물권, 채권, 영업권 및 무체재산권 뿐만 아니라 신탁수익권, 전화가입권 등 법률상 근거에 불구하고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 2. 상속개시일 현재 배당금, 무상주를 받을 권리 3. 상속 개시 전 피상..

경제/세금 2022. 12. 6. 18:34

상속세 과세대상, 국내거주자와 해외거주자의 상속세 차이점

상속세 과세대상 상속세 과세대상은 상속으로 인하여 상속개시 되는 경우 상속개시일 현재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으로 하며, 유증,사인증여,특별연고자 상속재산 분여, 유언대용신탁, 수익자연속신탁으로 인하여 상속받은 재산을 포함한다. 1) 피상속인이 거주자: 국내, 국외에 소재한 모든 상속재산 2) 피상속인이 비거주자 : 국내에 소재한 모든 상속재산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상속세 적용 차이 구 분 거 주 자 비 거 주 자 신고기한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 (피상속인이나 상속인이 외국에 주소를 둔 경우)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9개월 이내 과세대상재산 국내·외의 모든 상속재산 국내에 소재한 상속재산 공제금액 공과금 상속개시일 현재 피상속인이 납부하여야할 공과금으로서 납부되지 않은 금액 국..

경제/세금 2022. 12. 6. 18:10

법정상속분과 유류분 제도 궁금증 한번에 알아보기

피상속인은 유언에 의하여 공동상속인의 상속분을 지정할 수 있으며(지정상속), 유언으로 상속분을 지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민법에 규정된 법정상속분에 따라 상속재산을 분할한다. 법정상속분: 같은 순위의 상속인이 여러 명인 때에는 상속분이 동일한 것으로 하며, 배우자의 상속분은 직계비속과 공동으로 상속하는 때에는 직계비속의 상속분에 5할을 가산하고, 직계존속과 공동으로 상속하는 때에도 직계존속의 상속분에 5할을 가산한다. 법정상속분의 예시 구분 상속인 상속분 비율 자녀 및 배우자가 있는 경우 장남과 배우자만 있는 경우 장남 1 배우자 1.5 2/5 3/5 장남,장녀,배우자만 있는 경우 장남 1 장녀 1 배우자 1.5 2/7 2/7 3/7 장남,장녀,차남,차녀,배우자가 있는 경우 장남 1 장녀 1 차남 1 차녀..

경제/세금 2022. 12. 5. 22:05

추가 정보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
TISTORY
가을향기쉼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