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향기쉼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가을향기쉼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105)
    • 교육 (1)
    • 여행 (13)
    • 반려동물 (3)
    • 경제 (57)
      • 세금 (46)
      • 부동산 (5)
    • 라이프 (11)
      • 건강 (2)
    • 역사학 (18)
      • 해외여행 (0)
      • 국내여행 (13)

검색 레이어

가을향기쉼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신라인의 불심이 표현된 불국토

    2022.09.05 by 가을향기쉼터

  • 세계 최대의 청동기시대 무덤 고인돌 유적

    2022.09.04 by 가을향기쉼터

  • 정조의 효심이 만들어낸 세계유산 수원화성

    2022.09.03 by 가을향기쉼터

  • 자연속에 들어선 왕가의 기품 창덕궁

    2022.09.01 by 가을향기쉼터

  • 세계문화유산 불국사(佛國寺)

    2022.08.31 by 가을향기쉼터

  • 신라불교문화의 최고봉 석굴암

    2022.08.30 by 가을향기쉼터

  • 조선왕조 역대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사당 종묘 가는길

    2022.08.29 by 가을향기쉼터

  • 조선왕조 역대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사당 종묘

    2022.08.29 by 가을향기쉼터

신라인의 불심이 표현된 불국토

신라인의 불심이 표현된 불국토 등재 시기:년 12월 등재 이유:남산은 경주에서도 가장 정적이며 성스러운 장소다. 또한 신라 역사의 처음과 마지막을 말없이 지켜본 산증인이다. 나정에서 박혁거세가 태어나며 신라 천 년의 역사가 시작되던 날의 기쁨과 포석정에서 경애왕이 견훤에 쫓기며 사직의 종막을 알리는 슬픔이 모두 이 산에서 이뤄졌다. 그뿐만이 아니다. 고대 신라인들의 예술적 능력과 신심이 고스란히 묻혀 있다. 남산자략의 40여 개 골짜기에는 극락정토를 염원하는 신라인들의 예술혼과 신앙이 담긴 44백여 개의 불족이 신라 천 년과 그 이후의 천 년을 비바람의 모진 시련에도 아랑곳 않고 미소를 짓고 있다. 남산은 서라벌의 진산이다 북쪽의 금오산과 남쪽의 고위산의 두 봉우리의 사이를 잇는 산들과 계곡 전체를 통칭..

역사학/국내여행 2022. 9. 5. 20:50

세계 최대의 청동기시대 무덤 고인돌 유적

1. 등재 시기:2000년 12월 2. 등재 이유: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고인돌 형식의 다양성으로 발전과정을 규명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선사시대 사회현상, 사회구조, 정치체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고인돌은 땅 위에 커다란 돌 2개를 받치고, 그 위에 거대한 바위(덮개돌)를 올린 형태 거나 지면에 작은 돌을 놓고 큰 바위를 받쳐 놓은 형태, 땅 위에 바로 덮개돌을 얹은 형태를 하고 있다. 그런데 왜 이름을 분. 총. 묘라고 하지 않고 고인돌이라고 한 이유는 커다란 바위를 받치고 있다는 굄돌이란 말에서 유래됐기 때문이다.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의 위치는 서로 다르지만 서해안 지역이라는 공통점을 지녔다...

역사학/국내여행 2022. 9. 4. 00:05

정조의 효심이 만들어낸 세계유산 수원화성

1. 등재 시기: 1995년 12월 2. 등재 이유: 동서양의 군사시설 이론을 잘 배합시킨 독특한 성으로서 방어적 기능이 뛰어나다. 약 6km에 달하는 성벽 안에는 4개의 성문이 있으며 모든 건조물이 각기 모양과 디자인이 다른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흔히 사람들이 수원을 두고 효의 도시라 말한다. 조선 제22대 정조의 지극한 효심에서 태어난 도시이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의 효는 충보다는 앞서는 윤리였다. 거대한 수원의 역사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옮기는 데서 시작됐다. 신하들의 권력 다툼으로 희생자가 된 아버지 사도세자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즉위 14년 되던 해 사도세자의 묘소를 옮길 계획을 세웠다. 전국의 명당자리를 찾았고, 지금의 융릉으로 묘자리를 결정하고 대역사의 기반을 닦았다. 이처럼 사..

역사학/국내여행 2022. 9. 3. 08:02

자연속에 들어선 왕가의 기품 창덕궁

자연속에 들어선 왕가의 기품 창덕궁 둥재시기: 1997년12월 등재이유: 1.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 궁궐이다 2.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한 건축과 조경의 조화와 배치가 탁월하다. 창덕궁은 조선왕조의 이궁이다. 경복궁이 조선왕조의 정궁이긴 했지만 그리 오래 사용되지 않았다. 제2대 정종이 즉위하면서 개경으로 도읍을 옮겨 궁을 비우게 되었고 제3대 태종때 다시 한양으로 돌아왔지만 경복궁으로 들어가지 않고 새로이 창덕궁을 지어 기거했다. 경복궁을 대신해 조선의 정궁 역할을 했다. 정궁: 정궁은 왕과 왕비가 사는곳. 육궁이라 해서 왕의 침전(정궁),왕비의 침전(중궁)왕세자의 침전(용궁)대비의 침전(서궁)후궁 및 세자빈의 침전(빈궁)등이 다 갖춰져야 한다. 경복궁이 이에 해당하..

역사학/국내여행 2022. 9. 1. 20:32

세계문화유산 불국사(佛國寺)

528년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 부인의 발원으로 불국사 창건 5천년 불국사의 창건에 관한 기록으로 가장 오래된《불국사 고금 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는《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 서기 528년(신라 법흥왕 15)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 부인(迎帝夫人)의(迎帝夫人) 발원(發願)으로 불국사를 창건하여 574년 진흥왕(眞興王)의 어머니인 지소 부인(只召夫人)이(只召夫人) 절을 크게 중건하면서 비로자나 부처님(毘盧遮那佛)과(毘盧遮那佛) 아미타 부처님(阿彌陀佛)을(阿彌陀佛) 주조해 봉안했고, 670년(문무왕 10)에는 무설전(無說殿)을 새로 지어 《화엄경(華嚴經)》을 강설(講說)하였으며, 그 후 751년(경덕왕 10)에 김대성(金大城)에 의하여 크게 개수되면서 탑과 석교 등도 만들었다고 하였다.751년 당시의 재..

역사학/국내여행 2022. 8. 31. 20:59

신라불교문화의 최고봉 석굴암

세계문화유산 석굴암 석굴 (국보 제24호) 등재 시기: 1955년 12월 등재 이유: 석굴암은 조영에 있어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이 총체적으로 실현된 유산 세계 최고의 걸작품, 불교 성지의 석굴암은 석굴 전체에서 풍기는 은밀한 분위기 속에서 신비로움의 깊이를 더해 내면에 깊고 숭고한 마음을 간직한 가장 이상적인 모습으로 모든 중생들에게 자비로움이 저절로 전해 지는듯하다. 돌을 깎아 만들었지만 인공적인 부자연스러움을 찾아보기 어렵고,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는 어깨, 가부좌한 다리, 명상에 잠긴 듯 가늘게 뜬 눈, 엷은 미소가 묻어나는 입 등 전체에 생명감이 넘친다. 전생의 부모를 위해 조성한 석굴암 석굴암의 창건은 불국사의 창건과 때를 같이 한다. (삼국유사)'대성 효이 세부모'에는 석굴암을 세운..

역사학/국내여행 2022. 8. 30. 21:29

조선왕조 역대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사당 종묘 가는길

종묘는 자유관광이 안돼요. 2020년 5월 1일부터 종묘는 정해진 시간에 문화재 해설사의 안내에 따라 관람하는 시간 관람제를 운영 중이다. 국가 최고 사당으로 신성하고 엄숙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이다. 시간제 관람 - 종묘는 언어권별로 정해진 시간에 입장하여 문화재해설사와 함께 하는 관람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월·수·목·금) - 문화재 해설 동영상 촬영 및 음성 녹음은 반드시 해당 문화재 해설사의 사전 동의가 필요합니다. 해설 시간(월·수·목·금·일,문화가 있는 날)종묘관리소의 시간제관람의 각 언어별 입장시간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9:20 10:20 11:20 12:20 13:20 14:20 15:20 16:20 (3월~9월 16:40) 청소년단체 10:40 12:40 13:00 14:4..

역사학/국내여행 2022. 8. 29. 21:40

조선왕조 역대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사당 종묘

경복궁 왼쪽에 종묘, 오른쪽에 사직단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후 및 추존된 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이다. 종묘는 태조 3년 (1394) 10월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그해 12월에 착공하여 이듬해(1395) 9월에 완공하였으며, 곧이어 개성으로부터 태조의 4대 조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신주를 모셨고, 현재 정전에는 19실에 49위, 영녕전에는 16실에 34위의 신주가 모셔져 있으며, 정전 뜰앞에 있는 공신당에는 정전에 계신 왕들의 공신 83위가 모셔져 있다. 문화유산 등재 시기: 1995년 12월 문화유산 등재 이유: 1. 제왕을 기리는 유교 사당의 표본으로서 16세기 아래로 원형이 보존되고 있다. 2.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

역사학/국내여행 2022. 8. 29. 21:25

추가 정보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
TISTORY
가을향기쉼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